2024년 5월에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종료되면서 The 경기패스와 K-패스가 시행됩니다. 경기패스 k패스 비교 차이점을 알아보고 본인에게 어떤 카드가 더 적합한 지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경기패스 k패스 비교 및 차이점
첫 번째, 경기패스는 k패스에 비해 연령이 더 확대되었습니다. k패스는 일반/청년층(만19세~35세)/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다면, 경기패스는 청년층을 만 19세~39세로 정의해 청년층 대상을 확대했으며, 추가로 어린이/청소년(6~18세)까지 적용하여 혜택을 받는 대상의 폭이 훨씬 넓어졌습니다. 단, 경기패스 대상 중 어린이 혹은 청소년은 연 환급금액을 최대 24만 원으로 제한 두었습니다.
두 번째, 이용 횟수 제한이 없어졌습니다. k패스는 월 최소 15회~최대 60회로 한정이 되어있어 60회 이상 타는 경우에는 그 이상의 금액은 환급받지 못합니다. 반면 경기패스는 사용 횟수 무제한으로 등하교 후 학원을 이용하는 청소년들, 그리고 주말에 출근을 하거나 나들이를 가는 직장인들까지 모두 고려해 이용횟수 제한을 없앴습니다.
경기패스,k패스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.
k패스 발급 방법 홈페이지 카드사 종류 이용방법 총정리
경기패스 vs k패스 선택은?
두 가지 카드 모두 대중교통 부담을 낮춰준다는 점이 같지만 각각 할인율이 다르므로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K-패스 | The 경기패스 |
✔️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하는 사람 ✔️ 19세~34세 청년이거나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사람 | ✔️ 경기도에 거주하는 사람 ✔️ 19세~39세 청년 ✔️ 어린이/청소년(6~18세) |
간단히 카드를 선택하는 기준을 비교해 보았습니다. The 경기패스는 K-패스 혜택 플러스 추가로 혜택이 주어지는 것이므로 경기도에 거주하는 경기도인들은 k-패스보다는 더경기패스는 쓰는 게 무조건 이득인 것으로 보이고, 그 외의 사람들은 k-패스를 선택해 이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이상으로 경기패스 k패스 비교 및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 위의 내용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해 저렴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